2020. 1. 18.

軍營謄錄

軍營謄錄



조선시대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의 오군영에서 작성한 업무일지.
1593년부터 1882년까지 300여년간 기록되었으며 총 689책이다.
규장각과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훈련도감이 창설된 1593년부터 별기군 창설 이후 폐지된 1882년까지 300년간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된 조선 시대 군영들의 일일 업무일지로 당시 군 조직과 활동상은 물론 병사들의 생활 모습, 주변의 국제, 군사 정세, 군인들이 임금에게 호소한 내용 등이 담겨 있으며, 300여년 동안의 우리나라 사회상과 경제상 등 시대 전반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병영 기록을 이토록 수백여년의 장기간에 걸쳐 작성하고 온전하게 보존한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조선의 군영등록이 유일하다.

훈련도감의 전용 일지인 훈국등록 108책을 포함한 총 569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에, 훈국등록 9책을 포함한 총 120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집 없는 병사들에게 무상으로 땅을 나누어 준 내용, 조선 시대 군인들의 생계 활동, 표류해 조선에 정착한 네덜란드인 박연과 헨드릭 하멜의 훈련도감 근무 기록, 노비 출신으로 훈련도감 무관이 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위했던 안사민이 원래 주인의 소유권 주장 때문에 다시 노비로 전락할 뻔한 사연 등등 온갖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다.

3. 원문DB
현재 장서각 기록유산 DB에서 장서각 소장본 군영등록 569책 중 일부분을 올려놓았다.
1. 1615~ 1617년 훈국등록(訓局謄錄)
2. 1623~ 1867년 금위영사례(禁衛營事例)
3. 1623~ 1867년 금위영사례(禁衛營事例)
4. 1623~ 1874년 금위영사례초(禁衛營事例草)
5. 1624~ 1650년 어영청구식례(御營廳舊式例)
6. 1624~ 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6. 1624~ 1771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7. 1624~ 1811년 어영청사례(御營廳事例)
8. 1624~ 1866년 어영청초등록(御營廳抄謄錄)
9. 1624~ 1880년 어영집사청사례통고(御營執事廳事例通攷)
10. 1625~ 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11. 1626~ 1627년 훈국등록(訓局謄錄)
12. 1628~ 1881년 훈국등록(訓局謄錄)
13. 1645~ 1738년 어영청습진급착호등록(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
14. 1648~ 1776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15. 1652~ 1881년 어영청거동등록(御營廳擧動謄錄)
16. 1660~ 1806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17. 1682~ 1739년 금위영도등록(禁衛營都謄錄)
18. 1682~ 1786년 금위영초등록(禁衛營抄謄錄)
19. 1682~ 1844년 금위영초록(禁衛營抄錄)
20. 1682~ 1883년 금위영등록(禁衛營謄錄)
21. 1683~ 1727년 금위영도성개축등록(禁衛營都城改築謄錄)
22. 1684~ 1709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23. 1689~ 1698년 금위영겸파총등록(禁衛營兼把總謄錄)
24. 1710~ 1834년 훈국등초(訓局謄鈔)
25. 1721~ 1824년 훈국집사청등록(訓局執事廳謄錄)
26. 1721~ 1872년 금위영포폄등록(禁衛營褒貶謄錄)
27. 1725~ 1771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28. 1725~ 1858년 총융청등록(摠戎廳謄錄)
29. 1732~ 1774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30. 1736~ 1883년 어영청서총대등록(御營廳瑞蔥臺謄錄)
31. 1747~ 1867년 어영청중순등록(御營廳中旬謄錄)
32. 1748~ 1807년 어영청영종진등록(御營廳永宗鎭謄錄)
33. 1764년 훈국사례촬요(訓局事例撮要)
34. 1765~ 1775년 훈국사례촬요(訓局事例撮要)
35. 1765년 어영청영종방영무사등매년시사정식절목책(御營廳永宗防營武士等每年試射定式節目冊)
36. 1767~ 1866년 금위영거동등록(禁衛營擧動謄錄)
37. 1777~ 1881년 금위영서총대등록(禁衛營瑞蔥臺謄錄)
38. 1785~ 1800년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
39. 1793~ 1867년 금위영요람(禁衛營要覽)
40. 1793년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41. 1795~ 1881년 어영청전령등록(御營廳傳令謄錄)
42. 1801~ 1834년 훈국등록(訓局謄錄)
43. 1804~ 1866년 어영청습진탈등록(御營廳習陣頉謄錄)
44. 1811~ 1813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45. 1816~ 1856년 어영청감번등록(御營廳減番謄錄)
46. 1820년 훈국총요(訓局總要)
47. 1822~ 1855년 금위영내관등록(禁衛營來關謄錄)
48. 1824~ 1841년 총융청행행등록(摠戎廳幸行謄錄)
49. 1834~ 1884년 어영청성역등록(御營廳城役謄錄)
50. 1846~ 1849년 총위영습조홀기(總衛營習操笏記)
51. 1846~ 1849년 총위영습조홀기(總衛營習操笏記)
52. 1847년 총위영사례(總衛營事例)
53. 1860~ 1884년 금위영전좌등록(禁衛營殿座謄錄)
54. 1864~ 1895년 훈국총요(訓局總要)
55. 1866~ 1883년 어영청습진등록(御營廳習陣謄錄)
56. 1866년 순무영등록(巡撫營謄錄)
57. 1867~ 1882년 금위영습진탈등록(禁衛營習陣頉謄錄)
58. 1868년 어영청식례(御營廳式例)
59. 1870~ 1873년 금위영지출부(禁衛營支出簿)
60. 1872~ 1884년 어영청포폄등록(御營廳褒貶謄錄)
61. 1874~ 1875년 금위영소관영선비지출부(禁衛營所管營繕費支出簿)
62. 1874~ 1882년 지구관청헌일기(知彀官廳憲日記)
63. 1874년 지구관청헌(知彀官廳憲)
64. 1878~ 1880년 어영청관문초책(御營廳關文草冊)
65. 1882년 친군영절목(親軍營節目)
66. 1884~ 1888년 친군별영등록(親軍別營謄錄)
67. 1890~ 1892년 총어영등록(總禦營謄錄)
68. 금위영군색삭하어린(禁衛營軍色朔下魚鱗)
69. 장용위한산청천성책(壯勇衛閑散廳薦成冊)
70. 장용청절목초(壯勇廳節目抄)
71. 총융청사례(摠戎廳事例)

규장각 소장본 120책과 해외유출본 江界郡各面郡令謄錄, 江界郡報告謄錄, 江界郡府令謄錄, 江界府度支果謄錄, 江界府會計果文報謄錄, 京各部訓令謄錄, 京各司報告及各郡府令謄錄, 京畿謄錄, 京司訓令謄錄, 關北吉州防禦營民訴謄錄, 關西慰諭使謄錄, 大內修理謄錄冊, 謄錄, 貿紬契謄錄冊, 貿紬契傳掌謄錄, 白絲契傳掌謄錄, 別出次知盟文謄錄, 報告謄錄, 報告訓令謄錄, 生殖契傳掌謄錄, 宣醞謄錄, 市民謄錄, 預先所傳掌謄錄, 倭單所傳掌謄錄, 造備契傳掌謄錄, 火災時蕩減謄錄冊, 訓令謄錄, 檢題謄錄冊 , 敎書謄錄, 謄錄攷出, 刑曹謄錄抄, 湖南檢題謄錄 등은 웹DB 계획이 없다.

4. 기타[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는 군영등록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장서각에서는 20141120일에 군영등록 세미나를 열었다. # 조선 시대 기록 자료로서 군영등록이 지닌 위상을 알아보고 훈국등록에 실린 민원 관련 자료인 상언(上言)을 통해 조선 후기 사회상을 조명한 후, 조선 시대 300여년 동안 중앙 군대와 군인에 관한 콘텐츠의 원천이 많아 스토리텔링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번역을 통한 콘텐츠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